반응형
SMALL

휴넷 23년 상반기 6월 안전보건교육 시험 글타래 작성합니다.

 

 

 

다음 중 감정노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 1. 감정노동은 공적 삶의 영역인 근로자와 고객 간의 상호 관계 속에서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근로자가 자신의 감정 표현을 억제하는 행위이다.
  • 2. 표현 규범에 대한 주의성이 클수록, 근로자에게 더 많은 정신적인 에너지와 신체적인 노력이 요구되며 감정 표현에 있어서 더 많은 감정노동이 필요하게 된다.
  • 3. 근로자들이 실제로 느끼는 감정과 조직에서 요구하는 감정 표현이 일치할 때 감정 부조화가 발생한다.
  • 4. 감정 부조화로 인해 정서적 소진(Burn out)이 발생하고, 직무만족도가 감소하게 된다.
정답 3
수강생 답 3

\

 

Q. 다음 중 안전보건교육규정에 따라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강사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은?
① 관련 기관 종사자로서 실무경력 1년 이상 (3년 이상)
② 근골격계 질환 예방 전문가
③ 직무 스트레스 예방 전문가
④ 의사, 간호사, 공인노무사, 변호사

Q. 산업재해 예방 안전수칙은 4대 추진과제 및 17대 실천수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① O
② X
 
Q. 근로기준법상 재해보상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의 보험급여는 이중 배상이 가능하다.
① O
② X (산재보험이 강제 적용되는 사업장에서는 근로기준법상의 재해보상을 청구할 수 없음-이중배상금지)
 
Q. 안전수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작업자의 유일한 이동통로인 작업발판을 확실하게 고정해야 사고를 막을 수 있다.
② 작업장 위험요인 발굴 시 발굴 상황을 수집하여 감독자 및 전체 근로자가 토론을 거쳐 중복사항을 제외한다. 단, 동일한 공정이라 할지라도 타 설비에서 도출된 중복 위험사항은 제외하지 않는다.
③ 작업조건에 맞는 안전인증 제품의 보호구를 작업하는 근로자 수보다 적게 지급해야 한다.
④ 위험 작업 시 사전에 철저하게 인지하고 예방책을 세울 수 있도록 작업계획서를 꼼꼼하게 작성해야 한다.

 


Q. 노무를 제공하는 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설비·원재료·가스·증기·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기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하거나 또는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은 산업재해에 해당한다.
① O
② X
 
Q. 상시근로자 20명 이상을 사용하는 사업장의 경우 휴게시설을 갖추지 않으면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1,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① O
② X
 
Q. 업무와 부상/질병/장해/사망과의 인과관계 유무는 보통 평균인이 아닌 당해 근로자의 건강과 신체조건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① O
② X
 
Q. 끼임 사고는 근로자의 주의와 관심만으로 100% 예방이 가능하다.
① O
② X
 
Q. 다음 중 계절성 감염병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흔히 볼거리라고 불리는 유행성이하선염은 급성 전염병으로서 무증상 감염이 20%를 차지한다.
② 식중독은 주로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독버섯, 외독소를 가진 음식, 농약이 묻은 과일과 채소와 같은 독소 등을 통해 균에 감염되어 발생한다.
③ 유행성출혈열의 원인균은 한탄 바이러스(Hantan virus)로 들쥐의 소변과 타액에 다량의 바이러스가 함유되어 있어 배설물이 건조되면서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며 주로 실내 생활자에게 많이 발병한다.
④ 겨울철 감염병 중 하나인 인플루엔자는 갑작스러운 고열과 전신쇠약 등의 증세가 대표적이다.
(유행성출혈열은 신증후군출혈열이라고 불리는 병으로, 가을철 발생하는 전염성 질환이며 비교적 강우량이 적은 건조기에 군인, 캠핑이나 등산, 낚시를 즐기는 사람 등 주로 야외 생활자에게 많이 발병한다.)
 
Q. 여름철 온열질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열사병이란 체온을 조절하는 신경계(체온조절 중추)가 열 자극을 견디지 못해 그 기능을 상실하여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② 열사병의 증상으로는 땀을 많이 흘림(과도한 발한), 차고 젖은 피부, 창백함, 체온은 크게 상승하지 않으며 극심한 무력감과 어지럼증(현기증)이 있다.
 ③ 열실신은 주로 앉아있거나 누워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일어나거나 오래 서 있을 때 발생한다.
 ④ 열발진/땀띠가 발생하는 경우 환부를 시원하고 건조하게 유지하고, 발진용 분말가루 및 연고 등을 사용하도록 한다.

(열사병의 증상으로는 중추신경 기능장애(의식장애/혼수상태), 땀이 나지 않아 건조하고 뜨거운 피부(>40℃), 심한 두통, 오한, 빈맥, 빈호흡, 저혈압, 다발성 장기손상 및 기능장애와 같은 합병증 발생이 있다.)


Q. 봄철 유행하는 감염병에는 유행성출혈열,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이 있다.
① O
② X
(봄철 유행하는 감염병에는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수두, 수족구병, 눈병, 호흡기질환 등이 있다.)
 
Q. 피로를 예방 및 회복하기 위해서는 수면을 잘 취해야 하고 이때 수면시간은 길면 길수록, 오래 잘수록 그 효과가 크다.
① O
② X
(일반적으로 건강한 성인은 하루에 7~9시간의 수면이 필요하지만, 수면시간이 길다고 하여 기대 효과는 크지 않으며 너무 오래 자는 경우 오히려 건강을 해치기도 한다.)
 
Q. 안전문화란 작업장 안전영역에 대해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기본가정, 가치 및 규범을 의미한다.
① O
② X
 
Q. 고용형태에 따라 안전문화 인식수준은 차이가 없다.
① O
② X

Q. 수인성 감염병은 주로 물, 식품, 우유 등의 공동 매개체에 의해 발생한다. 
① O
② X

Q. 산업피로란 생산활동으로 인해 정신적·육체적으로 고단하다는 주관적 느낌이 있으면서 이로 인하여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생체기능의 변화를 가져오는 현상을 말한다. 
① O
② X
 
Q. 정리정돈을 하면 낭비를 줄임으로써 능률이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된다. 
① O
② X

Q. 의자가 낮은 경우 등뼈가 앞으로 휘기 쉽고 아랫배가 압박을 받으며 내부 장기의 정상적인 활동이 저해된다. 
① O
② X
 
Q. 산업재해 기록은 사업장의 개요 및 근로자의 인적사항, 재해 발생 일시 및 장소, 재해 발생 원인 및 과정, 재발 방지 계획을 기록하여 3년간 보관해야 한다. 
① O
② X
 
Q. 휴업급여는 업무상 재해로 취업하지 못하는 기간 동안 임금 대신 지급되는 급여로서, 통원치료 기간에는 지급되지 않는다. 
① O
② X

 

Q. 장해급여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장해보상 청구자가 관할 근로복지공단에 장해보상 청구서를 제출하면 관할 근로복지공단은 장해상태를 확인한 후 장해보상금을 장해보상 청구자에게 지급한다.
② 장해급여 지급 수준은 평균임금에 해당 등급의 기준 일수를 곱한 금액으로 산출되며, 등급별 장해보상 연금 기준 일수와 장해보상 일시금 기준 일수는 동일하다.
③ 장해급여란 업무상의 사유로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려 치유된 후 신체 등에 장해가 있는 경우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보험급여이다.
④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별표2의 장해급여표에 따라 제1급부터 제3급까지는 장해보상 연금이 지급되고, 제4급부터 제7급까지는 장해보상 연금 또는 일시금이 지급되고, 제8급부터 제14급까지는 장해보상 일시금으로 지급된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별표2에 따라 장해등급은 제1급에서 제14급으로 구분되며, 연금 및 일시금 기준 일수는 등급에 따라 다르다.)

 

 

 

 

 

[전부개정] 안전보건교육(제조업_현장 근로자) - 1분기 휴넷 정답

안전보건교육 제조업 정답 포스트 안전보건교육 전부개정 1분기 정답 제조업 현장 근로자 문제 휴넷 안전보건교육 (제조업_현장 근로자) 문제 1 - 1 산업재해 요인 중 관리적 요인인 것으로 가장

itte.tistory.com

https://itte.tistory.com/57

 

안전보건교육(제조업_사무 및 판매 근로자) - 3분기

O 문제 1O 문제 2O 문제 3O 문제 4O 문제 5 작업장 내 정리·정돈 불량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1. 위험·유해 물질 유출, 증발 가능 2. 원가 절감 3. 불명확한 표지, 표

itte.tistory.com

 

https://itte.tistory.com/58

 

휴넷 초일류기업의 숨어있는 경쟁력, 윤리경영

조직문화의 순기능이 아닌 것은? 보기 1. 행동지침의 제공 2. 구성원 조화와 단합 3. 조직몰입의 강화 4. 획일성 강화 정답 4 수강생 답 4 취득점수 / 배점 5점 / 5점 해설 조직문화의 역기능에 대한

itte.tistory.com

 

반응형
LIST
블로그 이미지

issue쳌

코인, 주식, 일상 블로그 대공황이 오면 인기가 많아질 블로그를 꿈꿉니다.

,
반응형
SMALL

2022 하반기 안전보건교육 자료 입니다.

안전보건교육Ⅱ(사무 및 판매근로자_제조업)  정답 확인 및 문제 풀이 자료

안전보건교육 시험응시 문제를 컨트롤 + F 를 통해 검색하세요

 

2022 7월 안전보건교육Ⅱ(사무 및 판매근로자_제조업) 문제 풀이

O 문제 1O 문제 2O 문제 3O 문제 4O 문제 5

다음 중 여름철 계절성 감염병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보기
  • 1. 식중독
  • 2. 유행성출혈열
  • 3. 콜레라
  • 4. 일본뇌염
정답 2
수강생 답 2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여름철 계절성 감염병은 식중독, 콜레라, 세균성이질, 장티푸스, 레지오넬라증, 일본뇌염 등이 있습니다.
직장 내 괴롭힘의 예방 조치는 단기간에 걸쳐 추진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답 X
수강생 답 X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직장 내 괴롭힘의 예방 조치는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이를 위해 예방 대응 업무 담당직원을 별도로 두는 것이 좋습니다.
사업자가 주최하는 야유회에 참석한 근로자가 아닌 타인을 구조하려다 강물에 빠져 사망한 경우 업무상 사고에 해당한다.
정답 X
수강생 답 X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사업주의 지배 영역 하에 있는 근로자가 아닌 타인을 구조하기 위한 행위는 사업주의 지배 영역 하를 벗어난 업무 외의 행위에 해당하므로 업무상 사고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다음 중 전파가능성을 고려하여 발생 또는 유행 시 24시간 이내에 신고해야 하고,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은?
보기
  • 1. 제1급 감염병
  • 2. 제2급 감염병
  • 3. 제3급 감염병
  • 4. 제4급 감염병
정답 2
수강생 답 2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전파가능성을 고려하여 발생 또는 유행 시 24시간 이내에 신고해야 하고,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은 제2급 감염병으로, 결핵, 홍역, A형간염 등이 있습니다.
업무상 재해의 인과관계 존재에 대한 입증 책임은 사업주가 부담한다.
정답 X
수강생 답 X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인과관계의 존재에 대한 입증 책임은 보험급여를 받으려는 자(근로자 또는 유족)가 부담합니다.(대법원 2005. 11. 10. 선고 2005두8009 판결)

 

 

 

검색 으로 정답 찾기 

 

2022

안전보건교육

-요약집-

[01] 산업재해보험법상 보험급여 및 처리절차

þ 산업재해보상보험법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보험료는 원칙적으로 사업주가 전액 부담한다.

§  산재보험급여는 재해 발생에 따른 손해 전체를 보상하는 것이 아니라 평균임금을 기초로 하 는 정률보상방식을 따르고 있다.

§  재해보상과 관련되는 이의신청을 신속히 하기 위하여 심사 및 재심사청구제도를 운영하고 있 다.

§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에 대해 사용자는 고의·과실의 유무와 관계없이 책임을 부담한다.

þ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

§ 산업재해보상보험 이란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보상하며           , 재해근로자의 재 활 및 사회 복귀를 촉진하기 위한 보험시설을 설치·운영하고, 재해 예방과 그 밖에 근로자의 복지 증진을 위한 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사회보험을 의미한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1조 참 조)

þ 상당인과관계 판단

§  업무와 재해사이의 인과관계의 상당인과관계는 보통평균인이 아니라 해당 근로자의 건강과 신체조건을 기준으로 해서 판단해야 한다.(대법원 2008. 1. 31. 선고 20068204 판결)

§  인과관계는 반드시 의학적, 과학적으로 명백하게 입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근로자의 취 업 당시의 건강상태, 발병 경위, 질병의 내용, 치료의 경과 등 제반 사정을 고려할 때 업무와 재해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다고 추단되는 경우에도 인정된다.(대법원 2007. 4. 12. 선고

20064912 판결)

§  인과관계의       존재에     대한         입증         책임은     보험급여를              받으려는                  (근로자                 또는           유족)    부담한

.(대법원 2005. 11. 10. 선고 20058009 판결)

þ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보험급여의 종류

§  요양급여: 업무상 재해로 부상 또는 질병에 걸린 재해근로자를 치유할 수 있도록 진찰, 약제, 수술, 처치, 간병 등 요양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급하는 급여이다.

§  휴업급여: 업무상 재해로 취업하지 못하는 기간 동안 임금 대신 지급되는 급여 요양으로 취 업하지 못한 기간에 1일 평균임금의 70%를 휴업급여로 지급한다.

§  장해급여:부상/질병이 치유되었으나, 정신적/육체적 훼손으로 노동 능력이 상실된 경우 그 상 실 정도에 따라 장해등급을 결정하고, 평균임금을 기초로 산정하는 소득보장급여

§  간병급여: 치유 후 간병이 실제로 필요한 중증 장해인에 대하여 지급한다.

§  유족급여: 업무상 사유로 사망 또는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유족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지급되는 보험급여. 연금지급이 원칙이나, 연금 수급권자가 없을 경우 일시금으로 지 급한다.

§  장의비: 유족이 장례를 지낸 경우 평균임금의 120일분에 상당하는 금액을 지급한다.

þ 보험급여의 산정 기준

§  원칙적으로 근로기준법에 따른평균임금 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

§  직업병 및 근로형태가 특이한 자는 평균임금 산정특례를 적용한다.

§  연금 등 장기급여수급자의 실질소득 보전을 위해 1년 단위로 평균임금 증감한다.

§  산재보험급여의 과다 과소보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고·최저보상기준금액을 평균임금으로 적용한다.

þ 산재보상 관련 유의사항 : 청구권 행사

§  근로자 의사에 따라 청구권자는 손해배상청구권, 재해보상청구권, 보험급여청구권 3가지 권리 를 각각 행사할 수 있다.

§  다만, 동일한 사유로 2가지 이상의 청구권을 동시에 행사할 수 없다. § 산재보험이 강제 적용되는 사업장에서는 재해보상청구가 불가하다.

þ 업무상 질병의 인정기준

§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별표3]에 따르면, 근로자의 질병과 업무와의 상당인과관계가 인정 되는 질병을 업무상 질병으로 보고 있다.

þ 업무상 사고의 인정기준

§  근로자가 근로계약에 따른 업무나 그에 따르는 행위를 하던 중 발생한 사고

§  사업주가 제공한 시설물 등을 이용하던 중 그 시설물 등의 결함이나 관리소홀로 발생한 사고

§  사업주가 주관하거나 사업주의 지시에 따라 참여한 행사나 행사준비 중에 발생한 사고 § 휴게시간 중 사업주의 지배관리 하에 있다고 볼 수 있는 행위로 발생한 사고

þ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보험급여의 종류 : 직업재활급여

§  장해등급 제1급부터 제12급까지의 장해급여자 중 취업을 위해 직업훈련이 필요한 사람에게 직업훈련비용 및 직업훈련수당을 지급하고, 장해급여자의 고용을 유지하는 사업주에게 지급하 는 보험급여

§  직장복귀지원금: 1~12급 장해인을 원직에복귀시켜 요양종결일로부터 6개월 이상고용을 유 지하고 있는 사업주에게 지급

§  직장적응훈련비/재활운동비: 원직에복귀한 1~12급 장해인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적응훈련/재 활운동에 필요한 비용 지급

§  직업훈련지원비: 장해 1~12급의 미취업산재근로자의 직업훈련 시,600만 원 이내에서 직업 훈련비용을 훈련기관에 지급

[02] 일터에서의 감염병 예방대책

þ 수인성 감염병의 개념

§  수인성 감염병이란 식품매개 감염병이라 하며, 병원성 세균, 바이러스, 원충에 오염된 물 또 는 식품 섭취로 인해 구토, 설사, 복통 등 위장관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þ 계절성 감염병

§  봄철 감염병: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수두, 수족구병, 눈병, 호흡기 질환

§  여름철 감염병: 식중독, 콜레라, 세균성이질, 장티푸스, 레지오넬라증, 일본뇌염

§  가을철 감염병: 유행성출혈열, 쓰쓰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쓰쓰가무시증: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어서 걸리게 되며 급성으로 발생한다.

§  겨울철 감염병: 인플루엔자

þ 코로나 19의 주요증상

§  발열(37.5℃ 이상), 기침, 호흡곤란, 오한, 근육통, 두통, 인후통, 후각·미각 소실 등

§  피로 식욕 감소, 가래, 소하기 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 혼돈, 어지러움, 콧물이나 코 막힘, 객혈, 흉통, 결막염 등

þ 코로나 19 사업장 조치사항

§  출근 전 발열(37.5℃ 이상) 또는 호흡기 증상(기침, 인후통 등)이 있는 노동자는 재택근무, 병가·연차휴가·휴업 등을 활용하여 출근하지 않도록 조치한다.

§  사업장에 확진 환자가 발생 또는 방문한 경우에는 사업장에서 노무를 제공하는 모든 사람에 게 발생·방문 사실을 즉시 알린다.

§  사업주는 업무에 복귀한 근로자에 대한 불이익을 금지하고, 근로자가 두려움을 갖지 않고 정 상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개인별 고정 근무자리 배치, 사무실 내 유휴공간 활용, 사무환경 개선 등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밀집을 최소화한다.

þ 2급 감염병

§  전파가능성을 고려하여 발생 또는 유행 시 24시간 이내에 신고해야 하고, 격리가 필요한 감 염병

§  ) 결핵, 수도, 홍역,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등

þ 감염병 예방 5대 수칙

§  비누, 세정제 등을 사용하여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 씻기.

§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손이 아닌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려 기침 예절 실천하기(지 속될 경우 마스크 착용)

§  음식물을 충분히 익혀 먹고 물은 끓여서 마시기

§  어린이, 노약자 등 접종 대상자는 예방접종 받기 § 해외 여행 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를 통해 현지 감염병 상황 확인하기

þ 감염병 예방을 위한 생활 수칙

§  평소에 손을 자주, 비누를 사용하여 흐르는 깨끗한 물에 씻기

§  식수는 반드시 끓였거나 병에 든 물(생수) 마시기

§  요리 또는 설거지, 손을 씻거나 양치 시에는 안전한 물, 소독된 물 사용

§  채소류 등 식재료는 흐르는 깨끗한 물에 씻고 충분히 가열한 후 섭취

§  여름철 조리 은식 보관 금지

§  오염된 물에 닿았던 음식, 이상한 냄새가 나거나 색깔, 모양 등이 변한 음식 섭취 금지

§  도마, 칼 등은 식품별로 구분하여 따로 사용

§  사용 후 깨끗이 씻고, 잘 말려서 사용

§  설사 증상이나 손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조리 금지

§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 의료기관 방문 진료 권고

§  손으로 가급적 눈, , 입을 만지지 않기

§  집 안, 실내 등은 청결히 하고 자주 환기 시키기

§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기침, 목 아픔, 콧물, 코막힘 등)이 있을 경우, 사람과 밀접한 접촉을 피하고 가급적 많은 사람이 모이는 장소로의 외출 자제

[03] 직무 스트레스 관리 및 직장 내 괴롭힘 대응방안

þ 직장 내 괴롭힘 관련 처벌 규정

§  사용자가 직장 내 괴롭힘 행위의 객관적 조사, 피해 근로자 보호, 가해 근로자 징계 등의 조 치의무를 이행하지 않거나 조사 과정에서 알게 된 비밀을 누설하는 경우,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근로기준법 제116조제2)

§  사용자(사용자의 친족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포함)가 직장 내 괴롭힘을 한 경우, 1천 만 원 이하의 과태료 (근로기준법 제116조제1)

§  직장 내 괴롭힘 발생의 신고 주장을 이유로 해고 등 불이익 조치를 한 경우, 3년 이하의 징 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근로기준법 제109)

þ 직장 내 괴롭힘 행위 예시

§  정당한 이유 없이 업무 능력이나 성과를 인정하지 않거나 조롱

§  정당한 이유 업싱 훈련, 승진, 보상, 일상적인 대우 등 차별

§  특정 근로자에게 근로계약서 등에 명시되지 않은 모두가 꺼리는 힘든 업무를 반복적으로 부 여

§  근로계약서 등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허드렛일만 시키거나 일을 거의 주지 않음

§  정당한 이유 없이 업무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제공이나 의사결정 과정에서 배제

§  정당한 이유 없이 휴가나 병가, 각종 복지혜택 등을 쓰지 못하도록 압력 행사

§  다른 근로자들과 달리 특정 근로자가 일하거나 휴식하는 모습을 지나치게 감시

§  개인사에 대한 뒷담화나 소문을 퍼뜨리는 행위

þ 직장 내 괴롭힘 관리방안 : 예방 대응조직(담당자)의 운영

§  직장 내 괴롭힘의 예방 조치는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이를 위해 예방 대응 업무 담당직원을 별도로 두는 것이 좋다.

§  직장 내 성희롱 예방 고충상담 업무 담당자가 괴롭힘 예방 대응 업무도 수행 가능하나, 성희 롱과 괴롭힘은 다른 측면이 있는 만큼 전문성을 키우도록 지원한다.

þ 직장 내 괴롭힘 판단 요소

§  행위자

사용자: 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2호에 따른 사용자로서 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근 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해 사업주를 위해 행위하는 자

       근로자: 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1호에 따른 근로자)

§  행위요건

1.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할 것

2.     업무상 적정 버무이를 넘는 행위일 것

3.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켰을 것

§  행위장소: 사업장은 물론이고 외근 출장지 등 업무수행이 이루어지는 곳, 회식이나 기업 행사 현장 등, 사적 공간, 사내 메신저 등 온라인상의 공간처럼 사업장 외의 장소도 포함한다.

þ 직무스트레스 요인 : 직무요인

§  개인과 환경 간의 부조화

§  직무만족도

§  설비 및 훈련

§  교대제

§  과도한 직무부담

§  과소한 직무

§  물리적 위험 § 직업관련 자존심

þ 직무스트레스 관리방안 : 개인적 접근

§  약물 치료

§  자기 관찰

§  인지행동치료 접근

§  자기 주장 훈련

§  분노조절 훈련

반응형
LIST
블로그 이미지

issue쳌

코인, 주식, 일상 블로그 대공황이 오면 인기가 많아질 블로그를 꿈꿉니다.

,
반응형
SMALL

2022 안전보건교육 정답 확인 및 문제 풀이에 대한 글을 올려드립니다.

산업안전보건법의 문제를 컨트롤 + F 를 통해 검색하세요

 

 

 

O 문제 1O 문제 2O 문제 3O 문제 4O 문제 5

산업안전보건법의 안전 및 보건조치 의무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 1. 안전 및 보건조치 의무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을 통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 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규정된 의무를 '과실'로 위반할 경우 안전보건 조치의무 위반죄가 성립한다.
  • 3. 사업주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공장장이 임의로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작업한 경우, 사업주에게 안전조치의무 위반죄를 물을 수 없다.
  • 4. 안전 및 보건조치 의무를 위반하여 근로자가 사망할 경우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한다.
정답 2
수강생 답 2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규정된 의무를 '고의'로 위반할 경우 안전 및 보건 조치의무 위반죄가 성립한다.
미세먼지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물을 충분히 섭취하여야 한다.
정답 O
수강생 답 O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물을 많이 마시면 호흡기 점막이 건조하지 않아 미세먼지가 쉽게 침투하지 못하고, 혈액의 수분 비율이 높아져 체내 미세먼지로 인한 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안개와 미세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의 대기오염물질이 혼합되어 안개가 낀 것처럼 대기가 뿌옇게 되는 현상을 '황사'라고 한다.
정답 X
수강생 답 X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황사'는 중국이나 몽골 등 아시아 대륙의 중심부에 있는 사막과 황토 지대의 작은 모래, 황토, 먼지가 하늘에 떠다니다가 편서풍을 타고 멀리까지 날아가 떨어지는 현상이다.
산업안전보건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 1. 산업안전보건법은 원칙적으로 모든 사업에 적용한다.
  • 2.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사업주'는 근로자를 사용하여 사업을 하는 자를 말한다.
  • 3.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근로자'는 직업의 종류를 불문하고 임금·급료 기타 이에 준하는 수입에 의하여 생활하는 자를 말한다.··
  • 4. 산업재해란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설비·원재료·가스·증기·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한다.
정답 3
수강생 답 3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산업안전보건법상 '근로자'는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사람을 말한다.
미세먼지 관리방안으로 촛불, 향, 방향제 등을 활용해 실내 공기질을 관리해야 한다.
정답 X
수강생 답 X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촛불, 향, 방향제 등의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2022 안전보건교육Ⅰ-요약집- 사무 및 판매근로자 [01] 산업안전보건법의 이해 þ 산업안전보건법의 이해 § 산업안전보건법은 원칙적으로 모든 사업에 적용한다. § 사업주: 근로자를 사용하여 사업을 하는 자를 말한다. § 근로자: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사람 을 말한다. § 산업재해: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이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설비·원재료·가스·증기·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한 다. þ 안전보건 업무 담당자 § 안전보건관리체제에서 안전보건 업무 담당자로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관리감독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산업보건의, 안전보건관리담당자 등을 지정·채용하고 역할을 부여한다. § 근로감독관은 안전보건관리체제에서 규정하는 주요 안전보건 업무 담당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 예외 사업을 제외하고 상시 근로자 수 5인 이상 사업장은 관리감독자를 선임하여야 한다. þ 안전 및 보건조치 의무 § 안전 및 보건조치 의무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을 통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규정된 의무를 '고의'로 위반할 경우 안전 및 보건 조치의무 위반죄가 성립한다. § 안전 및 보건조치 의무를 위반하여 근로자가 사망할 경우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 의 벌금을 부과한다. § 사업주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공장장이 임의로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작업한 경우, 사 업주에게 안전조치 의무 위반죄를 물을 수 없다. þ 안전보건관리 책임자의 주요업무 § 산재예방계획 수립, 안전보건관리규정 작성 변경의 업무를 진행한다 § 안전보건교육, 근로자 건강관리를 실시한다. § 산재 원인조사 및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한다. § 산재 통계 기록 유지, 위험성 평가 실시한다. § 안전장치·보호구 적격품 여부를 확인한다. þ 사업주가 작성해야 할 안전보건관리규정 § 사업주는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관리조직과 그 직 무에 관한 사항,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사항, 작업장의 안전 및 보건 관리에 관한 사항, 사고 조사 및 대책 수립에 관한 사항, 그 밖에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사항이 포함된 안전보건관리 규정을 작성해야 한다. (산업안전보건법 제25조) þ 중대산업재해 요건 §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산업재해 중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 §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산업재해 중 동일한 사고로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 상자가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산업재해 중 동일한 유해요인으로 급성중독 등 대통령령 으로 정하는 직업성 질병자가 직업성 질병자가 1년 이내 3명 이상 발생한 재해 þ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안전보건교육 § 건설기계 운전자, 골프장 캐디, 택배원, 대리운전기사 직종의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게는 최초 노무제공 시 2시간 이상, 유해·위험 작업 시 16시간 이상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산업안전보 건법 제77조제2항) § 단기간 간헐적 작업자는 신규교육 1시간 이상, 특별교육 2시간 이상 이수해야 한다. þ 산업안전보건법 책임주체별 의무: 대표이사 § 상시근로자 500명 이상인 회사 또는 전년도 시공능력평가액(토목 건축공사업에 한함) 순위 상위 1,000위 이내인 건설회사의 대표이사는 매년 회사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계획을 수립 하여 이사회에 보고하고 승인을 받도록 하였으며, 수립계획을 성실히 이행해야 한다.(산업안 전보건법 제14조) þ 건강진단에 관한 사업주의 의무 §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해 사업주는 사무직 근로자는 2년에 1회 이상, 그 밖의 근로자는 1 년에 1회 이상 주기적으로 건강진단을 실시하여야 한다. [02] 재해예방을 위한 정리정돈 및 안전수칙 þ 3정 5S의 이해 § 1970년대 일본 도요타의 JIT생산시스템 구축 방법으로, 관리 상태의 이상/정상 여부를 구분 하는 관리 수단으로 문제점을 쉽게 발견, 조치하기 위한 관리 방법 § 3정은 정품, 정량, 정위치를 말한다. - 정품 : 보관품목, 보관방법 결정, 품명 표시 - 정량 : 보관물품의 사양상태 파악, 적정 보관수량 표시 - 정위치 : 보관위치 결정 및 표시 § 5S는 정리, 정돈, 청소, 청결, 습관화를 말한다. - 정리 : 필요 물품과 필요 없는 물품을 구분하여 필요한 것을 정비하고 정품만 남기는 행위 - 정돈 : 정품을 쉽게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정위치, 정량을 표시해 두는 행위 - 청소 : 정리, 정돈을 끝내고 3정이 완료된 장소나 물건에 오염된 먼지나 이물 등을 제거하여 깨끗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 - 청결 : 더러운 것이 없이 언제나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 - 습관화 : 정해진 것을 정해진 대로 올바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습관화하는 것 þ 작업장 정리정돈 실천방법 § 작업장 통로는 80cm 이상의 폭을 유지하여 표시하여야 하고, 평탄하고 장애물이 없어야 한 다. § 작업장 바닥의 필요없는 물건이나 요철, 공구류나 작업용구, 기름 등은 미끄러짐이나 넘어짐 을 유발하므로 작업장 바닥의 불필요한 물건들을 정리한다. § 통로를 평탄하게 하고 통로 주변에 장애물이 없도록 한다. § 쓰레기, 먼지, 찌꺼기를 청소하여 청결한 작업장을 만든다. § 원자재와 반제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놓은 장소와 쌓을 장소를 지정하여 출입하기 쉽게 한 다. þ 산업재해예방 안전수칙(IECR) : 4대 추진과제 § I : ‘Identify’의 약자로 위험요인을 발굴하는 것을 의미한다. § E : ‘Eliminate’의 약자로 사고위험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 C : ‘Control’의 약자로 잠재위험을 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 R : ‘Response’의 약자로 사고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þ 산업재해예방 안전 수칙(IECR) : 17대 실천수칙 § 위험요인 드러내기(Identify)의 실천수칙 : 작업장 위험요인 발굴하기, 위험요인 목록 작성하 기, 작업장 위험요인 알려주기, 확인된 위험요인 표시 및 표지하기 § 사고위험 없애기(Eliminate)의 실천수칙 : 작업자가 위험요인 개선 요청하기, 위험요인에 대 해 근원적으로 안전조치하기, 안전조치 이상유무 감시(담당자 지정)하기. § 잠재위험 통제하기(Control)의 실천수칙 : 사고 위험성 최소화하기, 작업별 위험요인 관리 책 임자 지정하기, 작업 전 안전교육 및 개인별 위험요인 숙지하기, 개인보호구 지급 및 작용하 기, 안전작업절차 표시 및 준수하기, 작업시작 전·중·후 안전전검하기, 하청업체 안전작업 책 임자 지정 및 작업관리하기 § 사고 시 신속 대응하기(Response)의 실천수칙 : 개인별 대피요령과 역할 숙지하기, 사고 발 생 시 긴급대피 및 관계기관에 신고하기, 사고원인·대응 적절성 조사 및 재발방지 조치하기 þ 위험물 정리정돈: 유기용제 § 용기에 내용을 명시하고, 인화성 또는 불연성을 표시한다. § 유기용제 증발 시 화재, 중독, 산소 결핍되므로 용기는 반드시 뚜껑을 막아 보관한다. § 보관, 사용장소에서는 정리정돈을 잘하고 흐르면 곧바로 제거한다. § 사용장소는 환기 철저히 하고, 국소배기장치 가동 및 방독마스크를 착용한다. § 인화성 물질이 있는 곳에서는 화기를 엄금한다. [03] 미세먼지와 건강관리 þ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이해 § 미세먼지는 먼지의 직경이 10㎛ 이하인 공기 중의 고체상태의 입자와 액적 상태의 입자의 혼합물을 말한다. § 초미세먼지는 직경이 2.5㎛ 이하인 공기 중의 고체상태의 입자와 액적상태의 입자의 혼합물 을 말한다. § '황사'는 중국이나 몽골 등 아시아 대륙의 중심부에 있는 사막과 황토 지대의 작은 모래, 황 토, 먼지가 하늘에 떠다니다가 편서풍을 타고 멀리까지 날아가 떨어지는 현상이다. § ‘스모그’는 안개와 미세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의 대기오염물질이 혼합되어 안개가 낀 것처럼 대기가 뿌옇게 되는 현상이다. þ 미세먼지 민감군 § 미세먼지 민감군에는 노인, 임산부, 영유아, 어린이, 심혈관질환자 및 위험군, 호흡기 알레르 기질환자 및 위험군이 해당된다. § 미세먼지 민감군은 미세먼지로 인한 영향을 일반인보다 더 민감하게 받을 수 있으므로 각별 히 주의가 필요하다. þ 미세먼지 대응 생활수칙 § 평소 미세먼지 예보를 확인한다. § 미세먼지 민감 군 여부를 확인한다. § 미세먼지 노출 후 나타나는 증상을 확인한다. § 보건용 마스크를 준비하고 착용한다. § 손 씻기와 위생관리를 철저히 한다. § 비타민과 항산화제가 풍부한 과일과 채소를 섭취한다. § 호흡량 증가로 미세먼지에 더 많이 노출되므로 미세먼지가 나쁠 때는 조깅, 마라톤, 사이클 등 중등 이상의 강도의 실외 운동은 자제한다. §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여 혈액의 수분 비율을 증가시켜 미세먼지의 영향을 감소시킨다. þ 작업장의 미세먼지 관리 방안 § 국소배기장치를 활용하여 유해물질을 제어한다. § 해당 공정을 자동화하여 근로자의 출입을 억제한다. §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분진, 중금속 등)로부터 노동자의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 구분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미세먼지 주의보 150 ㎍/㎥ 이상 2시간 지속 75 ㎍/㎥ 이상 2시간 지속 미세먼지 경보 300 ㎍/㎥ 이상 2시간 지속 150 ㎍/㎥ 이상 2시간 지속 산업용 방진마스크를 착용한다. § 건강상 유해하지 않거나 유해성이 적은 물질과 공정으로 바꾼다. þ 미세먼지의 위험성 §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미세먼지를 인간에게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1군 발암물질로 분류하였다. § 초미세먼지는 미세먼지보다 입자가 작아 몸속 깊은 곳까지 침투할 수 있어서 더 위험하다. § 폐와 호흡기에 미치는 영향으로 폐렴, 폐암, 기관지염, 천식, 인후염 등을 들 수 있다. § 임산부에게 미치는 영향으로는 저체중아 출산이나 조산 위험을 들 수 있다. þ 미세먼지 경보 발령 기준 § 미세먼지 경보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의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 먼지가 2시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된다. þ 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 주기적으로 환기한다. § 공기청정기 사용 시 필터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교체한다. § 주기적으로 물걸레질한다. § 금연, 간접흡연을 피한다. § 실내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 촛불, 향, 방향제 등의 사용을 자제한다.

 

반응형
LIST
블로그 이미지

issue쳌

코인, 주식, 일상 블로그 대공황이 오면 인기가 많아질 블로그를 꿈꿉니다.

,
반응형
SMALL

안전보건교육(3분기-사무및판매근로자-제조업)

관리 과정 2021 9월 과정 문제 및 해답 풀이 댓글로 연속해서 달겠습니다.

 

 

시험

시험 응시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분정답오답점수계

객관식 2문항 2 개 0 개 40 점
OX 3문항 3 개 0 개 60 점
5  0  100 

O 문제 1O 문제 2O 문제 3O 문제 4O 문제 5

감전사고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 1. 감전에 의한 인체 상해 정도는 전류의 크기, 통전 시간, 전원의 종류(교류, 직류), 통전 경로(왼손, 오른손)에 따라 달라진다.
  • 2. 전기작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일반작업자에게 많이 발생한다.
  • 3. 저압보다 고압에서 재해가 훨씬 많이 발생한다.
  • 4. 동일 전류라도 통전시간이 길수록 더 치명적이고 오른손보다 왼손 통전이 더 위험하다.
정답 3
수강생 답 3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고압보다 저압에서 재해가 훨씬 많이 발생합니다.
감전이란 인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전류가 흐를 때 전기적 충격에 의해 인체 내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현상을 의미한다.
정답 O
수강생 답 O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감전이란 인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전류가 흐를 때 전기적 충격에 의해 인체 내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현상을 의미합니다.
전기에너지는 다른 에너지와는 달리 변환이 어렵고, 먼 거리로, 광범위한 영역에 동시에 공급할 수 없다.
정답 X
수강생 답 X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전기의 특성을 살펴보면 전기에너지는 다른 에너지와는 달리 변환이 용이하고, 큰 손실 없이 먼 거리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광범위한 영역에 동시 공급할 수 있습니다.
다음 중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 1. 역할 모호성(Role Ambiguity)이란 직무의 목표, 책임 한계, 우선순위 등 자신의 직무에 대한 정보가 명확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 2. 역할 경계(Role Boundary)란 두 가지 이상의 상반된 역할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발생한다.
  • 3. 역할 과부하(Role Overload)란 직무가 개인능력, 환경적 조건을 초과하여 직무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의미한다.
  • 4. 책임감(Responsibility)의 원인은 개인의 직무 수행 및 대인 관계에 대한 과도한 책임의식으로부터 발생하며, 동일 직무를 담당하는 개인에게 모두 동일하게 발생한다.
정답 4
수강생 답 4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책임감(Responsibility)의 원인은 개인의 직무 수행 및 대인 관계에 대한 과도한 책임의식으로부터 발생하며, 동일 직무라도 개인차가 존재합니다.
수인성 감염병이란 계절별로 유행하는 감염병을 의미한다.
정답 X
수강생 답 X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수인성 감염병이란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이라 하며, 병원성 세균, 바이러스, 원충에 오염된 물 또는 식품 섭취로 인해 구토·설사·복통 등 위장관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반응형
LIST
블로그 이미지

issue쳌

코인, 주식, 일상 블로그 대공황이 오면 인기가 많아질 블로그를 꿈꿉니다.

,
반응형
SMALL

휴넷 상반기 6월 안전보건교육 시험 글타래 작성합니다.

 

요양급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사업주는 고객응대근로자에 대하여 고객의 폭언, 폭행, 그 밖에 적정 범위를 벗어난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유발하는 행위로 인한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

다음 중 감정노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O 문제 1O 문제 2O 문제 3O 문제 4O 문제 5

요양급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 1. 요양급여 지급조건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40조에 따르면 재해근로자의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이 7일 이상의 요양을 요해야 한다.
  • 2. 진료 외 치료를 위한 투약 기간도 요양기간으로 볼 수 있다.
  • 3. 최초 진단이 2주인 재해자가 3일만 치료를 받고 나머지 기간은 자택에서 자가 치료한 경우에도 요양급여를 받을 수 있다.
  • 4. 요양급여 소멸시효는 3년이고 지급방법은 현물급여 지급이 원칙이다.
정답 1
수강생 답 1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요양급여 지급조건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40조에 따르면 재해근로자의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이 4일 이상의 요양을 요해야 합니다.
중대재해란 사망자가 1인 이상 발생하거나, 6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20명 이상 발생한 재해를 말한다.
정답 X
수강생 답 X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3조에 따르면 중대재해는 사망자가 1인 이상 발생하거나,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를 말합니다.
사업주는 고객응대근로자에 대하여 고객의 폭언, 폭행, 그 밖에 적정 범위를 벗어난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유발하는 행위로 인한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
정답 O
수강생 답 O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감정노동과 관련된 문제를 사업장에서 해결하기 위한 입법적 노력의 하나로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가 신설되었습니다. 사업주는 주로 고객을 직접 대면하거나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상대하면서 상품을 판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인 ‘고객응대근로자’에 대하여 고객의 폭언, 폭행, 그 밖에 적정 범위를 벗어난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유발하는 행위로 인한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하였습니다. (동법 제41조제1항)
다음 중 감정노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 1. 감정노동은 공적 삶의 영역인 근로자와 고객 간의 상호 관계 속에서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근로자가 자신의 감정 표현을 억제하는 행위이다.
  • 2. 표현 규범에 대한 주의성이 클수록, 근로자에게 더 많은 정신적인 에너지와 신체적인 노력이 요구되며 감정 표현에 있어서 더 많은 감정노동이 필요하게 된다.
  • 3. 근로자들이 실제로 느끼는 감정과 조직에서 요구하는 감정 표현이 일치할 때 감정 부조화가 발생한다.
  • 4. 감정 부조화로 인해 정서적 소진(Burn out)이 발생하고, 직무만족도가 감소하게 된다.
정답 3
수강생 답 3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근로자들이 실제로 느끼는 감정과 조직에서 요구하는 감정 표현이 충돌할 때 감정 부조화가 발생합니다.
업종에 따라 안전문화는 차이가 나지 않는다.
정답 X
수강생 답 X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업종에 따른 안전문화는 매우 상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조업의 경우 직원들의 교체가 많지 않기 때문에 주기적인 행동 관찰과 피드백 제공의 절차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건설업의 경우 공기에 따라 작업자가 달라지며, 원청, 하청, 파견 등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O 문제 1O 문제 2O 문제 3O 문제 4O 문제 5

1. 요양급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 1. 요양급여 지급조건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40조에 따르면 재해근로자의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이 7일 이상의 요양을 요해야 한다.
  • 2. 진료 외 치료를 위한 투약 기간도 요양기간으로 볼 수 있다.
  • 3. 최초 진단이 2주인 재해자가 3일만 치료를 받고 나머지 기간은 자택에서 자가 치료한 경우에도 요양급여를 받을 수 있다.
  • 4. 요양급여 소멸시효는 3년이고 지급방법은 현물급여 지급이 원칙이다.
정답 1
수강생 답 1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요양급여 지급조건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40조에 따르면 재해근로자의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이 4일 이상의 요양을 요해야 합니다.
2. 요양 중 지급되는 산재보험급여는 요양급여와 휴업급여, 장해급여이다.
정답 X
수강생 답 X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요양 중 지급되는 산재보험급여는 요양급여와 휴업급여 두 가지입니다. 요양기간이 2년을 경과하고 중증요양상태등급(1급~3급)에 해당하는 경우 휴업급여 대신 상병보상연금을 지급합니다.
3.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의 감정노동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예방 지침(KOSHA GUIDE H-34-2011)에서는 감정노동을 ‘직업상 고객을 대할 때 자신의 감정이 좋거나, 슬프거나, 화나는 상황이 있더라도 사업장(회사)에서 요구하는 감정과 표현을 고객에게 보여주는 등 고객 응대 업무를 하는 노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정답 O
수강생 답 O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힌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의 감정노동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예방 지침(KOSHA GUIDE H-34-2011)에서는 감정노동을 ‘직업상 고객을 대할 때 자신의 감정이 좋거나, 슬프거나, 화나는 상황이 있더라도 사업장(회사)에서 요구하는 감정과 표현을 고객에게 보여주는 등 고객 응대 업무를 하는 노동’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4. 감정노동 관리방안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 1. 감정노동이 업무의 일부이고 중요한 스트레스 요인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우선시하는 정책을 마련한다.
  • 2. 고객에게 무조건 친절히 응대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적정 서비스 기준을 제시하고 악성 고객 관리 규정 및 대응 매뉴얼을 만들어 근로자에게 교육한다.
  • 3. 근로자가 적정 수의 고객에게 응대할 수 있도록 적정 인원의 근로자를 확보하고 감정노동 수행 후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휴식 공간 및 휴식 시간을 제공한다.
  • 4. 고객과의 갈등이나 분쟁 발생 시 근로자에게 불이익을 주어 근로자가 고객에게 친절하게 대하도록 교육시킨다.
정답 4
수강생 답 4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고객과의 갈등이나 분쟁 발생 시 근로자에게 불이익을 주지 않는 문화를 조성하고 근로자 교육도 일방적인 친절 교육이 아니라, 감정노동에 대해 이해하고 관리하는 방안에 대한 교육을 실시합니다.
5. 업종에 따라 안전문화는 차이가 나지 않는다.
정답 X
수강생 답 X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업종에 따른 안전문화는 매우 상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조업의 경우 직원들의 교체가 많지 않기 때문에 주기적인 행동 관찰과 피드백 제공의 절차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건설업의 경우 공기에 따라 작업자가 달라지며, 원청, 하청, 파견 등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https://itte.tistory.com/74

 

[전부개정] 안전보건교육(제조업_현장 근로자) - 1분기 휴넷 정답

안전보건교육 제조업 정답 포스트 안전보건교육 전부개정 1분기 정답 제조업 현장 근로자 문제 휴넷 안전보건교육 (제조업_현장 근로자) 문제 1 - 1 산업재해 요인 중 관리적 요인인 것으로 가장

itte.tistory.com

https://itte.tistory.com/57

 

안전보건교육(제조업_사무 및 판매 근로자) - 3분기

O 문제 1O 문제 2O 문제 3O 문제 4O 문제 5 작업장 내 정리·정돈 불량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1. 위험·유해 물질 유출, 증발 가능 2. 원가 절감 3. 불명확한 표지, 표

itte.tistory.com

 

https://itte.tistory.com/58

 

휴넷 초일류기업의 숨어있는 경쟁력, 윤리경영

조직문화의 순기능이 아닌 것은? 보기 1. 행동지침의 제공 2. 구성원 조화와 단합 3. 조직몰입의 강화 4. 획일성 강화 정답 4 수강생 답 4 취득점수 / 배점 5점 / 5점 해설 조직문화의 역기능에 대한

itte.tistory.com

 

반응형
LIST
블로그 이미지

issue쳌

코인, 주식, 일상 블로그 대공황이 오면 인기가 많아질 블로그를 꿈꿉니다.

,
반응형
SMALL

[전부개정] 안전보건교육(제조업_현장 근로자) - 1분기 문제 모음 및 해설 모음 핵심요약

 


1분기 정답 모음 글타래

itte.tistory.com/74

 

[전부개정] 안전보건교육(제조업_현장 근로자) - 1분기 휴넷 정답

안전보건교육 제조업 정답 포스트 안전보건교육 전부개정 1분기 정답 제조업 현장 근로자 문제 휴넷 안전보건교육 (제조업_현장 근로자) 문제 1 - 1 산업재해 요인 중 관리적 요인인 것으로 가장

itte.tistory.com

itte.tistory.com/59

 

휴넷 [전부개정] 안전보건교육(제조업_사무 및 판매 근로자) - 2분기

구조자 안전수칙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1. 사고현장에서 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 2. 구급차 내에서는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한다. 3. 경찰과 구조대원과의 협조 체계를

itte.tistory.com

itte.tistory.com/57

 

 

전부개정 산업안전보건법의 이해

 

u  근로자 사망 시 사업주 및 도급인 처벌 개정(167)에 따르면 사업주 및 도급인은 7년 이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한다. 형 확정 후 5년 이내 반복 위반 시 형의 1/2까지 가중된다. 개정 배경으로는 중대재해 관련 법원에서 행위자에게 낮은 형을 선고했고 사망사고 대부분이 수급인 근로자에서 발생했기 때문이다.

u  위험성 평가 실시의 개정
개정 사유
위험성을 결정하고 문구에 대한 의미 모호
위험성 평가 제도의 취지를 고려하여 안전조치 및 보건 조치에 선행하도록 조문 위치 배열
개정 내용
고시에 규정된 근로자 참여 규정을 법으로 상향
조문 정리 : 위험성을 결정하고 → 부상 및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의 크기가 허용 가능한 범위인지 평가하고

 

u  MSDS 제출 의무 위반시 5백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u  산업안전보건법의 개정 이전에는 보호대상을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로 한정하여 보호 대상을 확대했다.

 

u  중대재해를 산업재해 중 사망 등 재해 정도가 심하거나 다수의 재해자가 발생한 경우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지정하여 개념정의를 명확화하였다.

 

u  법령요지 외 안전보건관리규정 게시 의무 위반시 5백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u  산업안전보건법 상에서 사업인은 근로자를 사용하여 사업을 하는 자로 명시되어 있다. / 도급인은 물건의 제조 · 건설 · 수리 또는 서비스의 제공 등 그 밖의 업무를 타인에게 도급하는 사업주이다.

 

u  산업재해 발생의 급박한 위험 시 근로자가 작업을 중단하고 긴급대피할 수 있다.

 

 

 

산업안전보건법 기초

 

u  산업재해의 관리적 요인
1.
근로자 정기 · 특별안전보건교육 실시
2.
신규 채용자 안전교육 실시 상태
3.
작업장 안전점검 실시 상태
4.
안전검사 대상 기계 · 기구의 안전검사 실시 상태 등

 

u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자의 의무는 다음과 같다.
1.
국가에서 시행하는 산업재해예방 시책 등을 준수해야 함
2.
산업재해 발생 보고의 의무가 있음
3.
산업재해 기록 · 보존의 의무가 있음
4.
산업안전보건법령 요지 게시 등의 의무가 있음
5.
유해 · 위험한 장소에 안전보건표지를 부착하여야 함
6.
안전 보건 상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함
7.
근로자의 생명을 지키고 안전 보건을 유지 · 증진시켜야 함
8.
안전보건규정을 작성하여 사업장에 게시하거나 근로자에게 알리는 등의 의무가 있음

 

u  안전보건 교육 훈련 참석 및 참여율 향상을 위한 6대 전략
1.
사업장의 노동자를 고려하라
2.
노동자를 위한 알맞은 규모의 맞춤 교육 설정
3.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라(Mix it up)
4.
전 세대를 아우르는 콘텐츠
5.
가상 수업을 포함시켜라
6.
이름에 차별성을 둘 것

 

u  중대 재해는 사망 등 재해 정도가 심한 것으로서, 다음의 재해를 말한다.
사망자 1인 이상 발생한 재해
3
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u  산업안전보건법은 근로자의 안전 보건을 유지 · 증진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사업주에게 부여하고 있다.

 

u  산업재해 발생 시 3년간 보존해야하는 의무가 있다.

 

u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강사기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서 실무경험을 보유한 자(강의는 유관 분야에 한함)
① 관련기관 종사자로서 실무경력 3년 이상
② 소방공무원 응급구조사 국가자격 취득자
③ 근골격계 질환 예방 전문가
④ 직무 스트레스 예방 전문가
⑤ 의사, 간호사, 공인노무사, 변호사

 

u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강사기준 중에는 관련기관 종사자로서 실무경력 3년 이상 종사하면 가능하다.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의 이해

 

u  업무상 사고의 범위
1.
근로계약에 따른 행위
2.
생리적 필요행위
3.
업무에 부수되는 행위
4.
천재지변, 화재 등 사업장 내에서 발생한 돌발적 사고로 긴급피난 등 사회통념상 예견되는 행위
5.
사업주의 출장지시에 의한 사고
6.
사적행위/순로이탈 등의 경우 불인정
7.
업무수행 장소가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로 업무수행 장소에 도착, 업무시작~퇴근 전까지 발생한 사고

 

 

u  산재보험 적용대상 중 특수형태의 근로자
보험설계사, 택배기사, 건설기계관리법에 의한 건설기계 자차기사, 전속 퀵서비스 기사, 대출모집인, 학습지 교사, 신용카드 회사 모집인, 골프장 캐디, 대리운전기사

 

u  업무상 사건의 기본요건
아래 3가지 요건이 충족되어 발생한 사건(accident)
우연성(accidental) = 비계획성, 비예측성, 불확정성
급격성(violent) = 갑자기, 돌발적
외래성(external) = 부상의 원인이 인체 외부의 영향으로

 

u  외근직 직원의 업무수행 장소 인정 범위
시행령 27조 제3항 최초 업무장소 도착, 업무를 시작한 때부터 최종업무 종료 후 퇴근 전까지로 규정되어 있다.

 

u  산재보험법 시행령 제30
운동경기·야유회·등산대회 등 각종 행사(이하 "행사"라 한다)에 근로자가 참가하는 것이 사회통념상 노무관리 또는 사업운영상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근로자가 그 행사에 참가(행사 참가를 위한 준비 · 연습을 포함한다)하여 발생한 사고는 법 제37조 제1항 제1호 라목에 따른 업무상 사고로 본다.

 

u  업무상의 재해'란 업무상의 사유에 따른 근로자의 부상 · 질병 · 장해 또는 사망을 말한다.

 

u  [인정 사례] 사업주가 제공한 음식물로 질식사한 경우 [질의회시, 보상6602-187,02.1.23]
망인은 건설현장 근로자로 점심식사 중 음식물에 의한 질식사로 사망
음식비용은 회사에서 지급하며, 음식물 이외에는 질병과 사망은 경합하지 않음

 

u  산재보험법 시행령 제28
사업주가 제공한 시설물, 장비 또는 차량 등의 결함이나 사업주의 관리소홀로 발생한 사고는 나목에 따른 업무상 사고로 본다.

 

 

 

근골격계질환의 예방

 

u  근골격계부담작업의 종류
1.
하루에 4시간 이상 집중적으로 자료입력 등을 위해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조작하는 작업
2.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목, 어깨, 팔꿈치, 손목 또는 손을 사용하여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작업
3.
머리 위에 손이 있거나, 팔꿈치가 어깨 위에 있는 등 부적절한 작업자세
4.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목이나 허리를 구부리거나 트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5.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쪼그리고 앉거나 무릎을 굽힌 자세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6.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지지 되지 않은 상태에서 한 손의 손가락으로 집어 옮기거나 물건을 쥐는 작업
7.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지지 되지 않은 상태에서 4.5kg 이상의 물건을 한 손으로 들거나 동일한 힘으로 쥐는 작업
8.
하루에 10회 이상 25kg 이상의 물체를 드는 작업
9. 25
회 이상 10kg 이상의 물체를 무릎 아래에서 들거나, 어깨 위에서 들거나, 팔을 뻗은 상태에서 드는 작업
10.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분당 2회 이상 4.5kg 이상의 물체를 드는 작업
11.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시간당 10회 이상 손 또는 무릎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충격을 가하는 업무

 

u  근골격계질환의 작업적 요인
반복적 동작
무리한 힘의 사용
부자연스러운 자세
정적인 자세
날카로운 면과의 접촉
작업환경(진동, 추운 날씨)

 

u  손과 손목에 영향력 있는 작업 요인 줄이는 방법

손과 손목을 주로 사용하는 작업 중 반복적인 동작, 무리한 힘, 진동, 나쁜 작업 자세와 같은 위험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요구되는 작업은 가능한 한 줄인다.
손가락과 손, 손목을 이용한 반복적인 동작을 줄인다.
손과 손목을 이용하여 무리한 힘을 사용하지 않는다.
손을 해머처럼 사용하지 말고 적절한 공구를 이용한다.
손과 손목의 진동 노출을 최소화한다.  진동 수준이 적은 공구를 사용하고 사용시간을 줄인다.
차가운 온도에서 진동 공구를 오랫동안 사용할 경우 영향이 증가하므로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적절한 장갑을 이용한다.
되도록 작업방법을 개선하여 진동을 감소시킨다.
손가락으로 쥐거나 잡는 손 자세를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취하지 않는다.
손목을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굽히지 않도록 하고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젖혀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부적합한 손과 손목 자세가 감소되는 수공구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u  단기간 작업(2개월 이내 종료 작업) 또는 간헐적인 작업(60일 미만 작업)은 근골격계부담작업 요인 조사에서 제외된다.

 

u  근골격계부담작업의 종류
1.
하루에 4시간 이상 집중적으로 자료입력 등을 위해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조작하는 작업
2.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목, 어깨, 팔꿈치, 손목 또는 손을 사용하여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작업
3.
머리 위에 손이 있거나, 팔꿈치가 어깨 위에 있는 등 부적절한 작업 자세
4.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목이나 허리를 구부리거나 트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5.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쪼그리고 앉거나 무릎을 굽힌 자세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6.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지지 되지 않은 상태에서 한 손의 손가락으로 집어 옮기거나 물건을 쥐는 작업
7.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지지 되지 않은 상태에서 4.5kg 이상의 물건을 한 손으로 들거나 동일한 힘으로 쥐는 작업
8.
하루에 10회 이상 25kg 이상의 물체를 드는 작업
9. 25
회 이상 10kg 이상의 물체를 무릎 아래에서 들거나, 어깨 위에서 들거나, 팔을 뻗은 상태에서 드는 작업
10.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분당 2회 이상 4.5kg 이상의 물체를 드는 작업
11.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시간당 10회 이상 손 또는 무릎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충격을 가하는 업무

 

u  근골격계질환을 유발하는 주 작업요인은 접촉스트레스, 불편한 자세, 반복동작, 무리한 힘, 진동 노출 등이 있다.

 

u  중작업인 경우 배꼽 아래 높이의 작업대 높이가 가장 적절하다.

 

u  잦고, 짧은 휴식은 근골격계질환 예방 대책 중 하나이다.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u  직무 스트레스 요인
물리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 직무 불안정,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 부적절, 직장문화 등이 있다.

 

u  산업안전보건법[41] :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조치
1.
업무의 일시적 중단 또는 전환
2.
휴게시간의 연장
3.
치료 및 상담 지원
4.
고소, 고발, 손해 배상 청구를 위한 증거물, 서류 등 지원

 

u  감정노동의 특성
1.
임시근로자, 시간제 근로자 및 장시간 근로자 근무 비율이 높음
2.
건강과 안전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은 경험이 낮음
3.
직장 내 마음을 나눌 동료가 부족하고 화가 난 고객응대가 많음
4.
언어폭력, 성적관심, 신체폭력 위협경험, 성희롱 경험이 높음

 

u  번 아웃은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 불안하고 실수를 한다.
러스트 아웃은 스트레스 수준이 낮아 권태, 나태, 무력감을 느낀다.

 

u  웃음의 긍정적 효과
신체적 긴장, 심리적 긴장 해소
10
분간 웃음, 10분간 노를 젓는 효과
뇌는 의도적인 가짜 웃음에 대해서도 긍정적 호르몬을 발생시킨다.

 

u  적정량의 스트레스는 건강 및 높은 직무 실적에 영향을 끼친다.

 

u  산업안전보건법 [5] : 사업주 등의 의무
사업자는 근로자의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 등을 줄일 수 있는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근로조건을 개선해야 한다.

 

u  근로기준법 76조의3(직장 내 괴롭힘 발생 시 조치)
누구든지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알게 된 경우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신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항에 따른 신고를 접수하거나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인지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그 사실 확인을 위한 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사용자는 제2항에 따른 조사 기간 동안 직장 내 괴롭힘과 관련하여 피해를 입은 근로자 또는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근로자(이하 “피해근로자 등"이라 한다)를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해당 피해근로자 등에 대하여 근무장소의 변경, 유급휴가 명령 등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피해근로자 등의 의사에 반하는 조치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응급처치의 이해

 

u  구조자 안전수칙
구급차 내에서는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한다.
사고현장에서는 응급차량의 경고등을 작동시킨다.
안전한 거리를 확보하면서 표시판()을 설치한다.
사고현장에서는 보호장비를 착용한다.
야간에는 조명을 받을 수 있도록 장비를 갖춘다.
차량사고 시에는 사고차량을 고정하고 시동을 끈다.
경찰과 구조대원과의 협조 체계를 최대한 유지한다.

 

u  응급상황 발생 시 조치순서 : 현장조사-구조요청-환자 상태파악과 기본처치-환자의 안정

 

u  응급처치의 목적
1.
응급환자의 생명구조
2.
통증감소 및 악화방지
3.
상태 회복을 도움
4.
장애의 정도 경감

 

u  응급환자에 대한 평가는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u  산업안전보건법 시행 규칙 [14]
보건관리자에 대한 시설 · 장비 지원 : 의사나 간호사인 보건관리자를 둔 경우 건강관리실을 지원해야 한다.

 

u  물체가 꽂혀있는 경우의 처치
1.
이물질을 임의로 제거하지 않음
2.
상처부위를 직접압박으로 지혈하고 움직이지 않게 고정
3.
가해물이 기계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절단한 상태에서 지혈 및 압박

 

u   파상품 주사는 상처 72시간 이내에 맞아야 한다.

 

u  골절 시 응급 처치방법으로 환자 운반 시 부러진 뼈 끝이 신경, 혈관, 근육 손상 또는 피부를 뚫고 나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반응형
LIST
블로그 이미지

issue쳌

코인, 주식, 일상 블로그 대공황이 오면 인기가 많아질 블로그를 꿈꿉니다.

,
반응형
SMALL

안전보건교육 제조업 정답 포스트 안전보건교육 전부개정 1분기 정답 제조업 현장 근로자 문제

 

 

휴넷 안전보건교육

(제조업_현장 근로자)

 

문제 1 - 1 

산업재해 요인 중 관리적 요인인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문제 2 - O

뇌는 의도적인 가짜 웃음에 대해서도 긍정적 호르몬을 발생시킨다.

문제 3 - O

산업재해 발생의 급박한 위험 시 근로자가 작업을 중단하고 긴급대피할 수 있다.

문제 4 - O

위험성평가의 실시 개정과 관련하여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문제 5 - 3

산업재해 발생 시 5년간 보존해야하는 의무가 있다.

산업재해 요인 중 관리적 요인인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 1. 근로자 정기 · 특별안전보건교육 실시
  • 2. 전기기계 · 기구의 접지
  • 3. 이동식 사다리의 변형 및 미끄럼방지 조치
  • 4. 안전수칙 · 작업절차 준수 여부
정답 1
수강생 답 1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2, 3번은 물적요인, 4번은 인적요인에 해당한다.
뇌는 의도적인 가짜 웃음에 대해서도 긍정적 호르몬을 발생시킨다.
정답 O
수강생 답 O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뇌는 의도적인 가짜 웃음에 대해서도 긍정적 호르몬을 발생시킨다.
산업재해 발생의 급박한 위험 시 근로자가 작업을 중단하고 긴급대피할 수 있다.
정답 O
수강생 답 O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산업재해 발생의 급박한 위험 시 근로자가 작업을 중단하고 긴급대피할 수 있다.
위험성평가의 실시 개정과 관련하여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 1. 위험성평가의 실시 개정 배경은 위험성을 결정하고 문구에 대한 의미가 모호했기 때문이다.
  • 2. 고시에 규정된 근로자 참여 규정을 법으로 상향하였다.
  • 3. 위험성평가 제도의 취지를 고려하여 안전조치 및 보건조치에 후행하도록 조문 위치 배열하였다.
  • 4. 개정 후 '부상 및 질병으로 이어질수 있는 위험성의 크기가 허용 가능한 범위인지 평가'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었다.
정답 3
수강생 답 3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위험성평가 제도의 취지를 고려하여 안전조치 및 보건조치에 선행하도록 조문 위치 배열하였다.
산업재해 발생 시 5년간 보존해야하는 의무가 있다.
정답 X
수강생 답 X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산업재해 발생 시 3년간 보존해야하는 의무가 있다.

 

 

휴넷 바로가기

 

www.googleadservices.com/pagead/aclk?sa=L&ai=DChcSEwiyjtbsoc3vAhUXrpYKHRKIC08YABAAGgJ0bA&ae=2&ohost=www.google.com&cid=CAESP-D2itv_XEXrtTd0NCb-bpoFOc1TUMaPd--iesZjvr2bvQ6PrQIlSmP_Lpo0QOCi-ADuPJB26zD-rcdekQO4Vw&sig=AOD64_1GwjYr7hHCfdzBnkyg2PsNWKMiYQ&q&adurl&ved=2ahUKEwi9jMrsoc3vAhXG_2EKHWF2B_0Q0Qx6BAgIEAE

 

휴넷사회복지평생교육원

믿을 수 있는 (주)휴넷 휴넷사회복지평생교육원, 교육부 정식인가 기관, 상담시 장학혜택! 1600-9660

wf.hunet.co.kr

www.hunet.co.kr/

 

휴넷 홈 ::: 평생학습 파트너, 휴넷

MBA, 리더십, 자격, 영어, 계층/직급 교육, 법정교육, 국민내일배움카드 공식기관, 고용보험환급제도 운영, 플립러닝, 게임러닝, 라이브솔루션 등 에듀테크 리딩 기업

www.hunet.co.kr

 

휴넷 다른 문제

itte.tistory.com/59

 

휴넷 [전부개정] 안전보건교육(제조업_사무 및 판매 근로자) - 2분기

구조자 안전수칙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1. 사고현장에서 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 2. 구급차 내에서는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한다. 3. 경찰과 구조대원과의 협조 체계를

itte.tistory.com

itte.tistory.com/58

 

휴넷 초일류기업의 숨어있는 경쟁력, 윤리경영

조직문화의 순기능이 아닌 것은? 보기 1. 행동지침의 제공 2. 구성원 조화와 단합 3. 조직몰입의 강화 4. 획일성 강화 정답 4 수강생 답 4 취득점수 / 배점 5점 / 5점 해설 조직문화의 역기능에 대한

itte.tistory.com

itte.tistory.com/57

 

안전보건교육(제조업_사무 및 판매 근로자) - 3분기

O 문제 1O 문제 2O 문제 3O 문제 4O 문제 5 작업장 내 정리·정돈 불량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1. 위험·유해 물질 유출, 증발 가능 2. 원가 절감 3. 불명확한 표지, 표

itte.tistory.com

 

반응형
LIST
블로그 이미지

issue쳌

코인, 주식, 일상 블로그 대공황이 오면 인기가 많아질 블로그를 꿈꿉니다.

,
반응형
SMALL

 

O 문제 1O 문제 2O 문제 3O 문제 4O 문제 5

작업장 내 정리·정돈 불량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 1. 위험·유해 물질 유출, 증발 가능
  • 2. 원가 절감
  • 3. 불명확한 표지, 표시로 인한 재해 발생 위험
  • 4. 기계설비 고장과 트러블
정답 2
수강생 답 2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정리 · 정돈 불량 시 위험
1. 위험 · 유해 물질 유출, 증발 가능
2. 불명확한 표지, 표시로 인한 재해 발생 위험
3. 기계설비 고장과 트러블
산업안전보건법 준수사항으로 사업주 및 근로자는 정리·정돈을 위해 작업 장소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청결하게 유지 관리하며, 폐기물은 자신과 가까운 장소에 버려야 한다.
정답 X
수강생 답 X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근로자 작업 장소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 관리하며, 폐기물은 정해진 장소에만 버린다.
산업재해예방 수칙으로 작업장 위험요인을 찾기 위해 허용 불가능 및 가능한 위험을 선정하여 위험도가 낮은 순으로 목록화한다.
정답 X
수강생 답 X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산업재해예방 수칙으로 작업장 위험요인을 찾기 위해 허용 불가능 및 가능한 위험을 선정하여 위험도가 높은 순으로 목록화한다.
화재 시 연소의 4요소를 차단하기 위한 소화의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보기
  • 1. 제거 소화
  • 2. 질식 소화
  • 3. 냉각 소화
  • 4. 바람 소화
정답 4
수강생 답 4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화재 시 연소의 4요소를 차단하기 위한 소화의 4가지 방법
1. 제거 소화
2. 질식 소화
3. 냉각 소화
4. 억제 소화
소화기구 중 물 소화기의 경우 보냉이 잘 되어있어 기온 0℃ 이하에서도 동결 방지 조치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 X
수강생 답 X
취득점수 / 배점 20점 / 20점
해설 물 소화기 취급 시 주의사항
1. 기온이 0℃ 이하에서는 동결 방지 조치가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2. 적응 소방대상물에 설치되어 있는지(B, C급 적응성 없음) 확인한다.
3. 소화기 몸통에 표시된 규정선까지 소화수가 차 있는지 확인한다.
4. 피스톤이 상·하로 원활히 움직이는지 확인한다.
반응형
LIST
블로그 이미지

issue쳌

코인, 주식, 일상 블로그 대공황이 오면 인기가 많아질 블로그를 꿈꿉니다.

,